728x90 cisco13 GNS3와 GNS3 VM의 연동 GNS3를 시작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온다. GNS3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Project 창이 나타날때까지 기다린다. 일단 Project 창을 Cancel을 클릭하여 닫는다. 다음으로 메뉴에서 Edit => Preferences 를 클릭한다. 나타난 창에서 왼쪽에서 GNS3 VM 항목을 클릭한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① VMware Workstation / Player (recommended) 가 선택되어야 한다.② VM name에 앞서 만든 GNS3 VM 이 선택되어야 한다.③ 학습자 컴퓨터 사양에 맞춰서 GNS3 VM의 vCPU와 RAM 크기를 결정한다.OK를 클릭한다. VMware Workstation Pro가 실행되고 GNS3 VM이 시작된다. GNS3 VM이 정상적으로 시작되면 아래와.. 2024. 10. 28. ASA (Telnet, SSH)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5. 1. GNS3 설치 ※ GNS3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이 글에서 보는 프로그램 버전과 실제 다운로드하는 버전을 다르다. 버전이 달라도 GNS3 사용법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그대로 따라하면 된다. GNS3 설치 준비 - VMware Workstation Pro (혹은 VMware Pro Player , VirtualBox) 설치 - GNS3 설치 프로그램 - GNS3 VM GNS3 관련 프로그램은 GNS3.com에 회원가입 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1. 다운로드 받은 GNS3 VM의 압축을 해제하면 GNS3 VM.ova 파일이 나온다. 2. (이미 VMware Workstation Pro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GNS3 VM.ova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VMware Workstati.. 2024. 1. 31. VLAN 설정하기 실습 네트워크 (학습자가 직접 토폴로지를 구성할 것) 다음 그림과 같은 토폴로지를 구성할 것 VLAN을 구성하기 전에 모든 PC간에 통신이 되는지 확인할 것 같은 VLAN 간에만 통신이 되도록 설정할 것 Packet Tracer PC Command Line 1.0 C:\>ping 10.1.1.12 Pinging 10.1.1.12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0.1.1.12: bytes=32 time 2024. 1. 29. Switch에서 Broadcast 영역 나누기 - VLAN 개념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모든 포트가 같은 네트워크, 같은 브로드캐스트 영역에 있다. 스위치는 네트워크를 나누지 못한다. 따라서 2~3대의 컴퓨터로 구성된 (분리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면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별도의 스위치를 구매하여야 한다. 이러한 소규모 네트워크가 회사에 다수 존재한다면 네트워크의 갯수만큼 스위치가 필요하다. 단일 스위치에서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분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래서 나온 것이 VLAN이다. -------------------------------------------------------------------------------------------------------------------------------------- VLAN의 이해 VLAN은 Virtual .. 2024. 1. 29. 스위치의 동작원리 Cisco Packet Tracer PC Command Line 1.0 C:\>ping 10.1.1.11 Pinging 10.1.1.11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0.1.1.11: bytes=32 time=10ms TTL=128 Reply from 10.1.1.11: bytes=32 time=5ms TTL=128 Reply from 10.1.1.11: bytes=32 time=6ms TTL=128 Reply from 10.1.1.11: bytes=32 time=6ms TTL=128 Ping statistics for 10.1.1.11: Packets: Sent = 4, Received = 4,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 2024. 1. 28. Cisco Console 연결의 이해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는 장비가 처음 설치될때만 작업자의 연결이 필요하고 그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연결이 필요없다. 보통 장비의 하드웨어적인 장애라던지, 네트워크 구성의 변화로 인해서 작업자가 장비에 연결해야할 필요성이 생기지만 보통은 아주 드물게 네트워크 장비로의 물리적 연결이 필요하다. 보통 Cisco Pacekt Tracer로 공부하는 학습자는 Cisco IOS에 대해서는 이해하지만 정작, 네트워크 장비를 물리적으로 어떻게 연결하는지는 모르는 경우가 있다. 실무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를 다루는 엔지니어는 자연스럽게 콘솔 연결을 이해하지만, 현장의 장비 경험이 없는 학습자는 이러한 개념을 가지기 어렵다.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시리얼 통신은 데이터를 한번에 한개의 비트bit씩.. 2024. 1. 27.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