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Network/CCNA20

STP 강의 (05) STP 토폴로지에 영향을 주도록 스위치 구성하기STP/RSTP는 기본적으로 Cisco 스위치에서 기본적으로 동작상태에 있으므로 유용한 디폴트 설정값이 세팅되어 있습니다. 스위치에는 디폴트 Priority 값으로 32768이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치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시스템 MAC 주소에 기반하여 브리지아이디는 자동생성됩니다. 또한 스위치 인터페이스에는 스위치 인터페이스의 동작중인 스피드에 따라 기본 STP/RSTP에서 계산에 사용하는 포트 비용이 결정되어 있습니다.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종종 STP/RSTP 설정을 변경하여 주어진 LAN에서 STP/RSTP가 내리는 결정을 변경하고자 합니다. 엔지니어가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도구는 브리지아이디를 새롭게 구성하고 STP/RSTP 포트 비.. 2024. 11. 1.
STP 강의 (04) 각 LAN Sgement에서 Designated Port의 결정 마지막 STP/RSTP 단계는 각 LAN 세그먼트에서 Designated Port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루트까지의 비용(Root Cost)이 가장 낮은 스위치가 경쟁에서 승리합니다. 링크 끝, 양단에는 두 개의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루트에 도달하는 비용이 가장 낮은 스위치가 Designated 스위치가 되고 해당 링크의 포트가 해당 세그먼트의 Designated Port, DP가 됩니다.  스위치와 STP/RSTP를 사용하지 않는 장치(예: 라우터 또는 PC)가 연결되어 있는 링크에서는 스위치의 포트가 DP가 됩니다. DP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는 스위치가 Hello를 링크로 전달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Hello 메시지에는 Hell.. 2024. 11. 1.
STP 강의 (03) Root 브리지의 결정 스위치는 BPDU의 BridgeID를 기반으로 루트 브리지를 선출합니다. 루트 브리지는 BID에 대한 숫자 값이 가장 낮은 스위치입니다. 두 부분으로 구성된 BID는 Priority 값으로 시작하므로 본질적으로 Priority 가 가장 낮은 스위치가 루트 브리지가 됩니다. 예를 들어, 한 스위치의 Priority가 4096이고 다른 스위치의 Priority 가 8192인 경우 각 스위치의 BID를 만드는 데 사용된 MAC 주소와 관계없이 Priority 가 4096인 스위치가 루트 브리지로 결정됩니다. BID의 Priority부분에 따라 동률이 발생하면 BID의 MAC 주소 부분이 가장 낮은 스위치가 루트브리지입니다. 스위치가 BID의 두 번째 부분으로 자체 범용(Burned-IN.. 2024. 11. 1.
STP 강의 (02)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STP/RSTP 알고리즘은 스위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을 전달하기 위한 단 하나의 경로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나무의 뿌리에서 각 잎까지 단 하나의 유일한 경로가 만들어지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에 트리라는 단어가 들어있습니다.  메모 오늘날 사용하는 스위치는 그 뿌리가 브리지라는 장비에 있습니다. STP은 브리지로 만들어진 네트워크에서 루프를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되었습니다. 그래서 STP/RSTP의 용어와 명령어 출력을 보면 오늘날은 잘 사용하지 않는 용어인 Bridge라는 단어를 흔하게 볼수 있습니다. 스위치와 브리지는 개념적으로 크게 다른 장비는 아니기 때문에 STP/RSTP를 공부할때는 굳이 브리지와 스위치라는.. 2024. 11. 1.
STP 강의 (01)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을 사용하면 스위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이중화된 경로를 갖는 동시에 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루프 문제를 해결할습니다. LAN 설계에서 이중화 구조를 사용하면 일부 링크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일부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네트워크가 중단없이 운용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네트워크 설계는 단 한곳에서의 장애 발생(Single Point of Failure)이 네트워크 전체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다양한 이중화 기술이 도입되어야합니다. STP를 사용하면 설계에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이중화 링크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STP은 1990년에 IEEE 802.1D로 표준화하였으면 이후 IEEE 802.1W로 RSTP를, 2024년에는 RSTP를 802.1D 표준에 통합합니다... 2024. 11. 1.
라우팅Routing의 이해 CCNA 시험에서 라우팅이 대략 전체 출제 문제중에 25%를 차지한다. 즉 라우팅을 잘 이해하지 않고는 CCNA 시험에 패스하기가 쉽지 않다. 강의에서 사용하는 토폴로지 R1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Network Route & Host Route Dynamic RoutingR4는 자기에게 연결된 네트워크 정보를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서 인접한 라우터에 광고한다.R2는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 192.168.4.0/24 Network Route를 다시 R1에게 광고한다.이제 R1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자.이렇게 라우터가 학습한 Network Route 정보를 다른 라우터에게 전달할 때 사용하는 것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 한다. Dynamic Routing 프로토콜을 통해서 학습한 네트워크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 2024. 10. 30.
STP LAB 실습파일의 토폴로지 (실습파일은 수강생에게만 제공됩니다.)이번 실습을 위해서 각 링크의 LED(초록색/주황색이 표시되는 아이콘)을 끄고 진행합니다. => Options > Preferences > Show Link Lights 항목의 체크를 해제합니다.Root Bridge는?각 스위치에서 포트의 역할(Root/Designated/Non-Designated)를 결정합니다.각 스위치에서 적절한 CLI 명령어를 사용하여 진행합니다.해설)Root Bridge는 Bridge ID가 가장 낮은 스위치가 됩니다. 주어진 토폴로지에서는 SW3의 Priority가 제일 낮기 때문에 SW3이 Root Bridge가 됩니다. Root Bridge의 연결된 포트는 Designated Port가 됩니다.SW3#show span.. 2024. 10.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