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CCNA

라우팅Routing의 이해

by 계영수 2024. 10. 30.
728x90

CCNA 시험에서 라우팅이 대략 전체 출제 문제중에 25%를 차지한다. 즉 라우팅을 잘 이해하지 않고는 CCNA 시험에 패스하기가 쉽지 않다.

 

강의에서 사용하는 토폴로지

 

R1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Network Route & Host Route

 

Dynamic Routing

R4는 자기에게 연결된 네트워크 정보를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서 인접한 라우터에 광고한다.R2는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 192.168.4.0/24 Network Route를 다시 R1에게 광고한다.

이제 R1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자.

이렇게 라우터가 학습한 Network Route 정보를 다른 라우터에게 전달할 때 사용하는 것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 한다. Dynamic Routing 프로토콜을 통해서 학습한 네트워크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까지 가는 경로가 사용가능하지 않을때는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에서 빠지게 된다.

반면에 Static Routing 은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자가 라우터에 직접 넣어주는 방식이다.

 

Static Routing은 Dynamic Routing과 다르게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가는 경로가 실제로 사용가능하지 않아도 라우팅 테이블에 남아있다.

 

Dynamic Routing 은 특정 네트워크까지 가는 경로가 여러개 있을때, 기존 경로에 문제가 생긴경우, 자동으로 대체경로를 찾아서 라우팅 테이블에 넣어준다.

 

위 토폴로지에서 R2와 R4 사이 구간에 장애가 발생하면

 

Dynamic Routing

  • Routers can use dynamic routing protocols to advertise information about the routes they know to other routers.
  • They form 'adjacencies' / 'neighbor relationships' / 'neighborships' with adjacent routers to exchange this information.
  • If multiple routes to a destination are learned, the router determines which route is superior and adds it to the routing table. It uses the 'metric' of the route to decide which is superior (lower metric = superior)

 

728x90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P 강의 (02)  (1) 2024.11.01
STP 강의 (01)  (0) 2024.11.01
STP LAB  (0) 2024.10.30
PortFast  (1) 2024.10.29
STP (04)  (0) 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