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에 대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인프런에서 3월 초순경에 "공유기 따라잡기(과목명 변경가능)" 강의가 개강될 예정입니다.
보물상자님의 소개 - 인프런 | 온라인 강의 플랫폼
인프런 보물상자님의 소개 페이지 입
본 포스팅에 있는 모든 자료는 필자가 직접 생각하여 작성한 글로써
필자의 허락없이는 어떤 형태로도 재사용이 불가합니다.
공유기를 공부한다는 것은 네트워크를 공부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유기를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첫째. 네트워크는 경계가 있는 개념입니다. 이는 마치 내가 사는 동네라고 했을때, 말하는 사람의 머리속에는 어느 정도 내가 살고 있는 동네에 대한 물리적인 경계(비록 정확하지는 않아도)가 있다는 전제가 있습니다. 인터넷이나 회사의 네트워크에는 셀수 없이 많은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하지만 공유기를 공부할때는 - " 이 세상에는 딱 2개의 네트워크만 있다."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공유기를 중심으로 이 세상에는 2개의 네트워크가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나는 인터넷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집 네트워크(MyHome) 입니다. 각각의 네트워크는 마치 나라와 같아서 하나의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넘어갈때 국경을 넘어가면 입국 심사를 하고 세관을 거쳐가는 것처럼,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가 넘어갈때 공유기에서 비슷한 일들이 벌어지게 됩니다.
둘째.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는 그 장비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IP 주소라는 것을 가지게 됩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들이 서로를 구분하여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각 장비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체계가 필요합니다. 네트워크에서는 IP 주소라는 식별체계를 사용합니다. IP 주소는 인터넷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개발된 주소체계입니다. 오늘날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IP 주소체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IP 주소체계는 윈도우 컴퓨터 기준으로 CMD 창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CMD 창에서 "ipconfig /all"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하게 됩니다.
내 컴퓨터에 주어진 IP 주소는 IPv4 주소라는 항목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내 컴퓨터의 IP 주소는 일반적으로 공유기에서 할당받게 됩니다. 공유기가 한 무리의 IP 주소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집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한 장비에게, 공유기가 가지고 있는 IP 주소 묶음에서 하나를 뽑아 각각의 장비에 할당하여 줍니다. 이러한 방식을 기술적 용어로 DHCP라고 합니다. 이렇게 말하게 됩니다. "내 컴퓨터는 DCHP 방식으로 공유기에서 IP 주소를 할당받았어!" 라고 말이죠~
IP 주소는 10진수가 4개 나열되어 있는 형태인데, 각 숫자 사이에 점이 찍혀 있는 형태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면 이 화면을 캡쳐한 컴퓨터는 192.168.219.82 라는 IP 주소를 할당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셋째. 네트워크는 그 크기가 기술적으로 정의됩니다. 우리 삶에서 내가 사는 집의 크기는 몇 평이야 혹은 몇 m2이야 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네트워크의 크기는 어떻게 결정될까요? 네트워크의 크기는, 해당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컴퓨터가 살수 있는지에 의해서 그 크기가 결정됩니다.
그렇다면 하나의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컴퓨터가 살수 있는지는 어떤 기술적 원리에 의해서 결정될까요? 바로 서브넷 마스크에 의해서 네트워크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아래 그림을 기준으로 좀 더 깊이 있는 설명을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 라고 되어 있는데, 이 설정에 의해서 우리집 네트워크는 192.168.219.1 ~ 192.168.219.254 라는 범위의 IP 주소를 가지게 됩니다. 즉 우리집 네트워크의 경계는 192.168.219.1 부터 192.168.219.254라는 범위를 가지게 됩니다. (본 과정에서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에 관한 기술적 원리는 설명하지 않습니다. 보다 정확한 기술적 원리를 이해하려면 저의 다른 강의를 수강하여 주세요!)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 이기 때문에, 우리집 네트워크의 범위는 192.168.219.1 부터 192.168.219.254까지 입니다. 따라서 우리집 네트워크에는 최대 253개의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네트워크의 범위에서 가장 첫번째 IP 주소, 위 그림을 기준으로 보면 192.168.219.1은 공유기가 가져가기 때문입니다. 우리집에서는 결국 192.168.219.2 부터 192.168.219.254 까지 범위의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ETC > 공유기로 배우는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가 주어지는 포인트는? (0) | 2024.02.08 |
---|---|
공유기 언패킹 (0) | 2024.02.02 |
공유기 접속과 IP 주소의 이해 (0) | 2022.08.22 |
네트워크를 공부할때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것들 (0) | 2022.08.22 |